Written by 2:10 오후 112호(2018.04)

[나 이렇게 산다]
빨강머리 앤과 조 선생님

박애란 (전 평택여고 교사, 후원회원)

“인아야! 앞으로는 나를 ‘코델리어’ 하고 불러줘, 알았지?”

“알았어, 엄마. 내가 엄마의 다이애나가 되어줄게.”

몇 달 전 나와 우리 딸의 대화 내용이다. 우리는 둘 다 ‘빨강머리 앤’을 좋아한다. 나는 소설세대이고 딸애는 만화세대이다. 일본작가가 그린 빨강머리 앤의 그림들은 소녀들의 취향에 딱 맞기에 우리 둘을 그 그림 속에 퐁당 빠뜨렸다.

소설 ‘빨강머리 앤’은 캐나다의 몽고메리 여사 작품이다. ‘빨강머리 앤’은 고아이지만 감성이 풍부하고 씩씩한 소녀이다. 그녀는 자신의 이름인 ‘앤’이 아무래도 너무 평범해서 마음에 들지 않았다. 어느 날 그녀는 친구들에게 자신의 이름을 ‘코델리어’로 불러달라고 주문했다. 다이애나는 그녀의 단짝친구 이름이다.

주근깨 빼빼 마른 빨강머리 앤

예쁘지는 않지만 사랑스러워

빨강머리 앤, 귀여운 소녀

빨강머리 앤, 우리의 친구

지금도 나는 고아소녀 빨강머리 앤의 주제곡을 가끔 부르며 추억에 젖어보곤 한다. 그녀는 내 10대를 행복하게 해준 행복의 아이콘이다.

“와우! 빨강머리 앤이다!”

얼마나 좋았던지 지금도 50년 전 그때의 감격을 잊지 못하겠다.

.

내가 빨강머리 앤을 만난 것은 서둔야학 3학년 시절인 1967년 봄이었다. 야학 운동장에 서있는 내게 조용민 선생님이 손에 들고 있던 책을 건네주셨다. 선생님께 인사를 하며 살펴보니 선생님 손에 책들이 있는 것이었다. 책을 광적으로 좋아하던 나였다. 금세 호기심으로 긴장됐다. 저게 무슨 책일까? 다섯 권으로 되어있는 소설 빨강머리 앤이었다. 아직도 잉크냄새가 가시지 않은 듯한 새 책이었다. 그때까지 거의 새 책을 만져보지 못했던 나는 엄청난 기쁨과 감동을 느꼈다. 야학생들을 위해서 새 책을 선물해 주신 조 선생님이 얼마나 고마운지 몰랐다.

책 선물을 받아들고 좋아서 어쩔 줄 모르는 나를 보며 조 선생님은 얼굴 가득 환하게 웃으셨다. 나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순수한 앤이라는 캐릭터에 빠져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단번에 다섯 권을 다 읽어버렸다. 그해 서울대 농대 농교육과 신입생으로 입학하신 조용민 선생님은 야학생들에 대한 사랑이 유난히 깊었다. 우리 모두 그분을 많이 따르고 좋아하고 있었다.

소풍날이었다. 한해 후배인 명희는 눈이 샛별 같이 빛나고 코가 오똑한 예쁜 소녀였다. 그러나 골수염으로 다리를 절었다. 노래를 끝낸 그 애에게 선생님들과 우리는 동정심으로 ‘잘했다’고 칭찬하며 손바닥이 따갑도록 박수를 쳐주었다. 그러자 그녀는 눈치 없게도 정말 자기가 잘해서 칭찬해 주는 줄 알고 거푸거푸 자기만 계속 노래를 부른다고 했다. 그 애를 보기가 참으로 딱했고 선생님들 뵙기가 민망했다.

그날 명희가 소풍을 따라올 수 있었던 것은 순전히 조용민 선생님 덕이었다. 가장 어린 축에 속하면서도 병마와 싸우느라 가엾을 정도로 몸이 말랐던 명희는 힘이 들어서 쉬엄쉬엄 걸어야 했기에 소풍을 따라갈 수가 없었다. 그런데 그것을 안쓰럽게 생각하신 조 선생님이 야학교에서 칠보산까지 20리가 넘는 왕복 길을 기꺼이 업어주셨다. 시간을 보시려면 늘 바지주머니에서 시계를 꺼내서 보시던 조 선생님이었다. 당신 자신도 너무 마르셨던 조 선생님의 손목이 견디기에는 시계가 너무 무거웠던 것이다. 그리고 등가죽과 배가 거의 맞붙어버리다시피 했던 선생님은 허리가 너무 없었기에 수업 중에도 흘러내리는 바지춤을 연신 추켜올리는 습관이 있었다. 그런 선생님 몸 어디에 그런 힘이 숨어 있었는지 모를 일이다.

국사 선생님이었던 조 선생님은 시에도 관심이 많으셔서 한용운 시인의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이나 신석정 시인의 ‘어머니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변용로 시인의 ‘논개’등을 칠판에 적어주시곤 하셨다.

아! 강낭콩 꽃보다도 더 푸른

그 물결 위에

양귀비꽃보다도 더 붉은

그 마음 흘러라.

– 논개 중 –

나는 강렬한 색채의 대비로 내 가슴에 깊게 각인되던 논개의 애국심이 눈부시도록 아름답게 느껴졌다.

후에 조 선생님은 말하셨다. 야학생들의 수업이 끝날 때쯤에는 일부러 상록사에서 나와 야학에 가서 학생들과 합류하곤 하셨다고. 우리들이 집에 갈 때는 연습림 골짜기에 노랫소리가 조용히 울려 퍼지곤 했다. 선생님과 제자들이 같이 ‘바위고개’, ‘가고파’, ‘고향생각’ 등 우리 가곡이나 ‘매기의 추억’, ‘아름다운 꿈’, ‘내 고향으로 날 보내 주’ 등의 미국민요를 부르며 연습림 오솔길을 걸어서 집에 가곤 했던 것이다. 조 선생님은 그 시간이 너무 좋으셨단다. 선생님의 수업이 없는 날도 우리와 그 시간을 함께하고 싶어서 수업이 끝나는 시간에 맞춰서 야학에 가곤 하셨단다. 나 역시 그 시간들이 가슴에 가장 아름답게 남아있다.

.

박애란 _ 선생은 서둔야학 시절 야학생과 교사로서 맺은 인연을 누구보다도 소중히 여기며 본회에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있다. 평택에서 어릴 적 꿈이었던 교사로 학생들을 가르치다 은퇴하였다.

Last modified: 2024-08-26